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다식

완벽한 보양식 삼계탕의 유래와 효능 오늘은 삼계탕의 유래와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계탕의 유래를 찾아보면 우리 선조들은 이열치열(以熱治熱) 즉, 열(熱)은 열(熱)로 다스려 더운여름에는 따듯한차를 마셔 더위를 여름의 더위를 이겨낸것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삼계탕은 어린 닭의 뱃속에 찹쌀, 대추, 인삼, 마늘을 넣고 오랫동안 푹 고아 만든 따뜻한 음식으로, 고단백식품인 닭이 들어간 삼계탕을 먹으면서 부족한 단백질을 채워 기력을 더해주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롭게 여름을 날 수 있었던 방법중 하나였던 것이었습니다. 삼계탕의 효능에 대해 살펴 보면, 주재료인 닭고기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소화 흡수가 잘 되는 것이 특징으로,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허약한 몸을 보하고, 체내에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부재료.. 더보기
2018년 초복, 중복, 말복 날짜, 삼복의 뜻과 삼복에 먹는음식은? 1. 2018년 초복, 중복, 말복은 언제인가요? 2018년 초복날짜는 7월 17일(화요일), 중복날짜는 7월 27일(금요일), 말복날짜는 8월 16일(목요일)입니다. 2. 복날의 뜻 삼복은 일년 중 가장 더운 시기로 24절기 상으로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와 가을에 들어선다는 입추 전후에 있는, 초복, 중복, 말복을 통틀어서 삼복이라 합니다. 삼복의 복(伏)자는 엎드릴 복(伏)자로, 이 기간동안에는 가을의 기운이 오려다가 더위 앞에 잠시 엎드려 있다고 하여 복날이라고 합니다. 음력 6월과 7월 사이에 들어 있으며, 초복과 중복 사이, 중복과 말복 사이가 각각 10일간격으로 초복에서 말복이 대개 20일 간격 안에 있지만, 올해는 특별하게 입추가 늦어지는 해인지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더보기

반응형